포경은 음경을 둘러싸고 있는 표피가 음경에 비하여 길어서 귀두가 표피에 의하여 가려져 있고 표피가 뒤로 젖혀지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환아가 너무 어린 경우 전신 마취가 필요하지만, 초등학교 고학년 이상이면 음경피부만 마취하는 국소 마취로 가능합니다.
이 수술은 대부분 특별한 기구 없이 수술을 진행합니다. 수술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표피를 그대로 둔 후 관상구(요도 입구 밑 쪽으로 힘줄처럼 보이는 부위의 양쪽) 근처 피부에 잘라낼 부위를 표시하고 동그란 고리 모양으로 절개한다.
2) 표피를 귀두 아래로 내린 후 관상구 근처에서 포피 내면을 동그란 고리 모양으로 절개를 한다.
3) 두 절개선 사이를 가른 후 분리된 포피를 제거한다.
4) 출혈 부위를 묶어서 지혈하고 피부를 꿰매 연결한다.
포경 수술 후 합병증이 생기는 확률은 0.2% 정도로 매우 낮지만 출혈, 통증, 염증, 상처 벌어짐 등의 합병증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관은 정소와 정관 팽대부를 연결하는 관을 일컬으며 정자가 이동하는 통로입니다.
정관 수술은 정관을 자르고 잘린 정관의 두 끝을 꿰매 정자의 이동을 차단하는 수술입니다.
다른 피임법들 보다 효과가 확실하며 영구적으로 지속되는 수술입니다.
정관 수술 후 고환에서 생성되는 정자들은 부정관에 머물러 있다가 효소의 작용으로 녹아 체내에 흡수됩니다.
수술 후 다시 임신을 원하는 경우에는 정관 복원술을 시행한다면 절단된 정관을 다시 개통하여 가능하게 합니다.
음낭에 작은 절개 부위를 만들고 이 부위를 통해 정관을 꺼내 정관을 묶은 후 정관을 다시 제자리로 돌려놓으면 시술이 종료 됩니다.
흔히 시행되는 무도 정관 수술법은 특별한 기구를 사용하여 피부에 작은 구멍을 뚫고 정관만 피부 밖으로 끌어내어 시행하는 방법이며
피부 절개창이 거의 남지 않으므로 시술 후 따로 피부를 봉합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시술 후 2~3일 동안은 몸에 꼭 끼는 삼각팬티를 착용하는 것이 좋고 음주와 샤워를 금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술 후에도 잔여 정자가 배출될 수 있으므로 10회 이상 기타 피임법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반드시 정액검사를 시행하여 정액에 정자가 더 이상 섞여 나오지 않는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남성은 40세에서 55세 사이에 호르몬, 신체적, 화학적 변화로 생활 전반에 커다란 영향을 받게 됩니다.
40대 이후 남성들의 신경질적인 반응, 우울한 기분, 기억력 감퇴, 집중력 저하, 피로 회복이 더딤, 불면증, 얼굴이 화끈거림,
식은땀을 잘 흘림, 성적 능력 감소 등과 같은 복합적인 증상을 호소하며, 이러한 전신 상태에 따른 변화를 총칭하여 남성 폐경(남성갱년기)이라 합니다.
남성 갱년기의 치료는 부족한 남성호르몬을 보충하는 방법이 사용되며 남성호르몬의 특징상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 후에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남성호르몬은 남성 갱년기 환자에서는 큰 부작용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남성 갱년기가 없는 일반인에서는 남성호르몬 보충은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남성 갱년기 환자에서 호르몬 보충요법을 시행하면 근력이 증가하게 되며, 체지방 감소와 골다공증이 예방되는 등 전반적인 신체 기능이 향상됩니다.
또한 인지 능력이 향상되며 정신적 증상, 즉 무기력, 피로감, 우울, 공포감 등의 증상이 개선되며 성적 능력이 개선되어 성욕 및 성 기능이 향상됩니다.
남성 갱년기의 예방은 사회생활을 하면서 발생하는 스트레스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시도해보고
식사도 무기질이 많은 음식이나 저지방 음식을 섭취하고 충분한 수면과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규칙적인 생활을 하고 적절한 운동과 성생활을 해야 합니다.
주위 사람들과 자기 생활이나 여러 가지 문제에 대해 진솔한 대화의 시간을 자주 가지는 것도 좋은 방법이며,
특히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삼가는 것이 갱년기를 예방하는 길입니다.
장수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건강하고 활동적인 생활을 유지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